앞서 다룬 스택과는 다르게 큐는 LILO ( Last In Last Out )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Last In Last Out은 글자 그대로 나중에 들어온 값이 나중에 나간다는 것이다.
이번에 코드를 짜면서 역시 시간 초과 문제가 발생할 것을 염두하여 collections module에 존재하는 deque를 사용하였다.
처음에 한 번 deque를 써보지 않고 해보려 했지만, 먼저 들어온 값을 내보내는 코드에서 reversed(queue_list).pop()도 불가능했고, queue_list[::-1].pop()을 해도 기존의 list가 변하지 않기에 del이나 remove를 사용해야 해서 결국 시간 복잡도가 증가하기에 ( O(N)으로 증가한다. ) deque를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 sys.stdin.readline # 시간 초과 error를 해결하기 위한 input함수 재정의
queue_list = deque() # collections library 중 deque를 사용하면 queue를 시간 안에 구현 가능
M = int(input()) # command 개수 입력
for _ in range(M): # command 개수만큼 반복
command = input().split() # 줄바꿈 문자를 제외하고 공백을 기준으로 분리
if command[0] == 'push': # 명령어가 push인 경우
queue_list.append(command[1]) # push 다음에 존재하는 숫자를 queue에 추가
elif command[0] == 'pop': # 명령어가 pop인 경우
if len(queue_list) == 0: # 빈 queue라면 -1을 출력
print(-1)
else: # 빈 queue가 아니라면 deque에 존재하는 popleft()를 이용하여 가장 처음 들어온 값을 pop
print(queue_list.popleft())
elif command[0] == 'size': # 명령어가 size인 경우 queue의 길이 출력
print(len(queue_list))
elif command[0] == 'empty': # 명령어가 empty인 경우
if len(queue_list) == 0: # 빈 queue라면 1 출력
print(1)
else: # 빈 queue가 아니라면 0 출력
print(0)
elif command[0] == 'front': # 명령어가 front인 경우
if len(queue_list) == 0: # 빈 queue라면 -1을 출력
print(-1)
else: # 빈 queue가 아니라면 가장 앞에 있는 값 출력
print(queue_list[0])
else: # 명령어가 back인 경우
if len(queue_list) == 0: # 빈 queue라면 -1을 출력
print(-1)
else: # 빈 queue가 아니라면 가장 마지막에 있는 값 출력
print(queue_list[-1])
'Algorithm Test > BaekJ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ekJoon 10866 - 덱 (Python) (0) | 2022.03.02 |
---|---|
BaekJoon 1158 - 요세푸스 문제 (Python) (0) | 2022.03.01 |
BaekJoon 1406 - 에디터 (Python) (0) | 2022.02.25 |
BaekJoon 1847 - 스택 수열 (0) | 2022.02.24 |
BaekJoon 9012 - 괄호 (0) | 2022.02.23 |